안수기 원장
- 그린요양병원, 다린탕전원 대표
둘이서 대작하나니, 산꽃은 피고(兩人對酌山花開)/한 잔 한 잔, 또 한 잔(一杯一杯復一杯)/취해서 졸리나니, 그대는 돌아가소(我醉欲眠卿且去)/즐거웠거든 내일 아침, 거문고 품고 오시게(明朝有意抱琴來)-이태백, 〈산중대작(山中對酌)〉.
좌금우서(左琴右書), 좌측에는 거문고, 우측에는 서적, 책보고 거문고를 즐기니,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다. 공자도 금(琴)을 타는 것을 즐겼다고 하지 않는가? 그래서인지 동양 선비들은 거문고를 옆에 두고 사랑해왔다.
심금(心琴)을 울린다. 감동을 받았을 때 표현한다. 여기서 심금은, 심장과 거문고이다. 거문고를 탈 때, 그 줄의 떨림이 소리로 공명된다. 심장의 떨림을 거문고의 현의 떨림 현상으로 비유했다. 표현이 예술이다. 금(琴)을 연주할 때처럼, 그 떨림과 전율이 심장(心臟)에서 느낀다는 것이다. 흔히 전율이 느낄 정도의 진한 감동이다. 왜 하필, 심장과 거문고를 빗대었을까? 서로가 비슷하다는 것이다. 떨림이, 그 진동의 파장이.
심장, 혈류순환 중추이다. 박동의 주체이자, 수축과 이완에 의해 심장박동이 나타난다. 그러나 힘만 가지고는 부족한 것이 있다. 바로 리듬이다. 리듬을 따라서 힘을 실어야 가장 효율적으로 혈액을 분출하기 때문이다.
심장은 군주의 관직이다
심장의 리듬은 어디에서 오는가? 현대의 심장박동의 조절이론은 호르몬과 자율신경계 이론과 전기적 전도 등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최초의 박동과 인간마다 다른 심전도 상의 고저장단의 미세한 차이를 필자에게 명쾌하게 이해시켜주는 이론을 아직 접하지 못했다. 하여 본 필자도 고민해왔다. 그런데 태교를 들여다보니 보였다.
심장의 뛰는 주기는 태아 때부터 형성된다. 엄마의 탯줄을 따라서 전해오는 엄마의 심장의 울림, 이것이 태아심장 리듬의 악보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태교가 중요한 이유이다. 30여년의 임상에서 흔히 예민하다(?)는 환자들을 접하면서 깨달은 지식이다.
심자 군주지관(心者 君主之官), 심장은 군주의 관직이다. 한의학의 장점, 비유하여 설명했다. 글자의 힘이다. 내 몸의 킹, 한마디로 가장 중요하다는 말이다.
심주신(心主神), 심장은 정신을 주관한다. 칠정(七情)과 더불어 한의학 정신과의 중추 이론이다. 심장은 뛰는 것, 즉 펌핑하는 물리적인 운동성의 주체가 정신을 주관한다? 언뜻 연관성이 없는 듯하다. 그런데 리듬을 보면?
뇌를 보기 전에 리듬을 봐야 한다
불면증, 조울증, 공황장애 등등 각종 정신병이나 트라우마, 파킨슨, 심지어 치매까지 현대의 정신과 또는 뇌과학과 연관된 대표적인 증상들일 것이다. 현대과학은 이들을 모두 뇌만 들여다본다. 스캔과 뇌파만을 언급하면서 마치 뇌가 전부인양, 그런데 뇌로 접근할수록 더욱 일이 확대되고 꼬이는 것을 본다. 그래서 난치이고 불치로 방치된다. 아니 더 심화된다.
그런데 임상에서는 심장, 특히 심장의 리듬을 회복하면 의외의 결과들이 나타난다. 임상에서 심장리듬을 회복하니 불면증이 치료되는 것이다. 결과도 대 만족이다.
리듬이 핵심이다. 심장의 리듬이 관건이다. 그럼 그 리듬은 어디서 영향을 받는가? 주위의 자극이다. 자극은 감정의 파고를 일으키고 심장의 리듬이 깨진다. 이는 심장박동에 영향을 미친다. 혈류량이 변화한다. 호르몬 대사와 뇌 혈류량에 발화점이 된다.
그래서 뇌를 보기 전에 리듬을 봐야 한다. 심장의 리듬, 말이다. 매미 울음조차 잦아지는 맹추(孟秋)에, 심장의 떨림에 귀 기울여 보시라. 가을의 선율이 들리실 것이다. 심금이 울릴 것이다. <좌금우서>해보자. 이왕 <좌금우심(左琴右心)>도 좋다. 거기 생명에 달통한 의원님이 거하실 지니. 더불어 건강은 말할 필요가 없다.
August 27, 2020 at 02:38PM
https://ift.tt/2YAtEkn
문화 향기 가득한 한의학 ⑦ > 뉴스 - 한의신문
https://ift.tt/2UxkSBG
No comments:
Post a Comment